기초100제) 6009 ~ 6017 기초- 입출력 (1)
6009 : [기초-입출력] 문자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
문자(character)는
0~9, a~z, A~Z, !, @, #, {, [, <, ... 과 같이
길이가 1인 기호라고 할 수 있다.
변수에 문자 1개를 저장한 후
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를 그대로 출력해보자.
a = input()
print(a)
6010 : [기초-입출력] 정수 1개 입력받아 int로 변환하여 출력하기
정수(integer)는
양의 정수(1, 2, 3, 4, 5, ...), 음의 정수(-1, -2, -3, -4, -5, ...), 0 과 같이
소숫점 아래에 수가 없는 수라고 할 수 있다.
변수에 정수값을 저장한 후 정수로 변환하여 출력해보자.
a = int(input())
print(a)
6011 : [기초-입출력] 실수 1개 입력받아 변환하여 출력하기
숫자(0~9)와 소수점(.)을 사용해 표현한 수를 실수(real number)라고 한다.
변수에 실수값을 저장한 후
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그대로 출력해보자.
a = float(input())
print(a)
6012 : [기초-입출력]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1
줄을 바꿔 정수(integer) 2개를 입력받아 줄을 바꿔 출력해보자.
a = int(input())
b = int(input())
print(a)
print(b)
6013 : [기초-입출력] 문자 2개 입력받아 순서 바꿔 출력하기1
2개의 문자가 줄을 바꿔 입력된다.
순서를 바꿔 한 줄에 한 문자씩 출력한다.
a = input()
b = input()
print(b)
print(a)
6014 : [기초-입출력] 실수 1개 입력받아 3번 출력하기
실수(real number) 1개를 입력받아 줄을 바꿔 3번 출력해보자.
a = float(input())
print(a)
print(a)
print(a)
6015 : [기초-입출력]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2
공백을 두고 입력된정수(integer) 2개를 입력받아 줄을 바꿔 출력해보자.
* 참고
python의 input()은 한 줄 단위로 입력을 받는다.
input().split() 를 사용하면,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된 값들을 나누어(split) 자른다.
a, b = 1, 2
를 실행하면, a에는 1 b에는 2가 저장된다.
(주의 : 하지만, 다른 일반적인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a=1, b=2 를 한 번에 하나씩 따로 실행시켜야 한다.)
a,b = input().split()
print(int(a))
print(int(b))
6016 : [기초-입출력] 문자 2개 입력받아 순서 바꿔 출력하기2
공백을 두고 문자(character) 2개를 입력받아 순서를 바꿔 출력해보자.
a,b = input().split()
print(b,a)
6017 : [기초-입출력] 문장 1개 입력받아 3번 출력하기
정수(integer), 실수, 문자(character), 문자열(string) 등 1개만 입력받아 한 줄로 3번 출력해보자.
a = input()
print(a,a,a)